체중 감량 약물: 우리의 식습관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우리는 이제 체중 감량 약물의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이 우리의 미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사회 전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고민해봐야 할 시점입니다. 연구자들은 이 약물들이 비만이 단순히 의지력이 부족한 사람들의 도덕적 실패라는 통념을 뒤흔들고 있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비만, 개인의 선택인가, 사회의 실패인가?
영국 노동당 정부는 최근 비만한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고 복지를 줄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수단으로 체중 감량 약물을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비만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들어 줍니다. 비만은 개인이 잘못된 선택을 해서 생긴 것일까요, 아니면 수백만 명의 피해자가 있는 사회적 문제일까요?
체중 감량 약물이 비만 위기에서 실질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러한 약물들이 왜 사람들이 체중이 늘어나는지를 논의하는 큰 문제에서 벗어나게 하는 편리한 구실에 지나지 않는 것일까요?
체중 감량 약물의 원리와 효과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는 식사 후에 방출되는 호르몬을 모방하여 뇌를 속여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식욕을 줄입니다. 이 약물의 사용에 따라 많은 비만 환자들이 음식과의 관계가 바뀌고 있다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비만 과학자인 자일스 여 교수는 설명합니다. 즉, 단순한 호르몬 하나의 변화를 통해 우리의 식습관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과거 100년 간 우리의 유전자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지금의 식품 환경은 상대적으로 변화하여 비만과 관련된 문제들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빠르게 소비할 수 있는 저렴하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들이 증가하면서 나쁜 식습관을 가지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적 변화로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사회적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현재 영국에서는 성인 4명 중 1명이 비만입니다. 체중 감량 약물인 웨고비는 초기 체중의 약 15%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약물의 사용할 계획이 2년에 한정되어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약물을 끊으면 다시 식욕이 돌아와 체중이 다시 증가할 우려가 있습니다.
글래스고의 GP인 마가렛 맥카르티 박사는 "만약 비만을 유발하는 환경을 계속 방치한다면, 이 약물들에게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비만에 대한 보다 철저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체중 감량 약물을 통한 치료에 의존하기보다는,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의 영양 교육, 저소득층 지역에서의 저렴하고 건강한 음식 접근 개선, 그리고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필요하겠죠.
일본처럼 작은 식사를 따르는 식문화의 전파나, 고도로 가공된 식품에 대한 한도를 설정하는 것도 고민해볼 수 있는 대안입니다.
체중 감량 약물은 시작일 뿐입니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비만 문제를 해결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앞으로 이 약물들이 어떻게 활용될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식습관과 사회를 어떤 방향으로 변화시킬지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겠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비만을 단순한 개인적 문제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회적으로 진지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로 볼 것인지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